제목 : 아이캔스피크
개봉 : 2017.09.21
감독 : 김현석
출연 : 나문희, 이제훈
민원 메이커 옥분
포기를 모르는 여자, 일명 포모녀인 옥분(나문희)은 오늘도 명진 구청에 민원을 접수한다. 어떠한 자그마한 불법 행위도 용서치 않겠다는 기세로 매일같이 민원을 제출해 공무원들 치를 떨게 만드는 옥분은 명진 구청에서는 '도깨비 할머니'로 통한다. 종횡무진 거칠 것 없던 옥분은 명진 구청으로 발령받은 원칙주의 9급 공무원 민재(이제훈)와 마주하게 된다. 구청에서는 시장 재개발을 위해 옥분의 민원을 무시하고 있지만 계속되는 옥분의 민원은 골칫거리였다. 이에 민재는 구청에서 재개발 중지 명령을 내려 옥분의 민원을 해결한 뒤, 건설회사에서 소송을 제기하고 재판 결과 구청이 져 버리는 방법을 제시한다.
영어 선생님 민재
옥분은 늦은 나이에 영어공부를 시작하지만 진도를 따라가지 못해 학원에서 쫓겨난다. 상심한 옥분은 우연히 민재의 영어실력을 알게 되고 다음날부터 구청에 눌러앉아 영어를 가르쳐달라며 민재를 괴롭히기 시작한다. 무시하지만 옥분의 집요함에 한계를 느낀 민재는 일부러 어려운 단어들로 가득 찬 단어 테스트를 해서 80점 이상 맞으면 가르쳐주겠다고 제안한다. 하루 뒤, 최선을 다했지만 결과는 75점. 커트라인을 넘지 못한 옥분에게 민재는 단호하게 거절하고 옥분은 결과를 받아들인다.
민재는 으슥한 골목으로 향하는 동생 영재(성유빈)를 보고 혹시 나쁜 길로 빠진 것은 아닐까 우려해 뒤를 쫓는다. 그리고 영재가 옥분의 집에서 밥을 먹고 있는 걸 보게 된다. 알고 보니 우연히 시장에서 영재를 만나게 된 옥분이 특유의 오지랖을 발휘해 간간히 집밥을 차려주었던 것이다. 옥분에게 고마움을 느낀 민재는 주 3회 영어를 가르쳐 주기로 하고 그렇게 옥분과 민재의 영어수업이 시작된다.
옥분의 사정
옥분이 영어를 배우고 싶은 이유가 LA에 있는 동생 때문임을 알게 된 민재는 옥분 몰래 동생에게 전화를 건다. 하지만 기대하는 옥분과는 달리 동생은 기억도 나지 않고 만나고 싶지도 않으니 다시는 전화하지 말라며 전화를 끊어버린다. 옥분이 상처 받을까 봐 7급 공무원 준비로 영어수업을 해줄 수 없다며 수업을 피한다.
구청을 찾은 옥분은 재계발 중지 명령이 짜고 치는 고스톱이라는 사실을 알게 된다. 민재에게 따지며 소송 때 쓰라고 준 증거가 어디 있냐며 소리치자 안 쓰는 자료를 두는 곳에 보관해 놓았다고 하지만 옆자리에 앉은 직원은 자료가 폐기되었다고 말한다. 이에 민재가 자신을 속였다는 배신감에 화가 난 옥분과 억울한 민재는 크게 다툰다. 옥분에게 사과하려던 민재는 옥분이 가게 문을 닫고 임시 휴업에 들어갔다는 사실을 알게 된다.
친구 정심(손숙)이 치매에 걸렸다는 소식을 들은 옥분은 가게 문을 닫고 병원을 찾아간다. 정심은 일본 위안부 사건의 증인으로 미국 청문회에 설 예정이었지만 치매 판정으로 인해 계획이 무산되고 말았다. 지금까지 위안부 피해자임을 숨겨 온 옥분은 용기를 내서 정심 대신 청문회에 서기로 한다. 뉴스를 통해 옥분의 과거가 밝혀지고 시장과 구청 사람들은 충격을 받는다. 민재는 옥분을 찾아가 사죄하고 옥분의 위안부 시절 이야기를 듣고 다시 영어를 가르쳐준다.
미국 하원 청문회
옥분이 위안부 피해자 신고를 하지 않았다는 이유로 청문회가 미뤄지자 민재는 명진 구청에서 서명을 받으며 위안부 피해자 신고를 돕는다. 어렵게 미국 하원 청문회에서 연설을 하게 된 옥분. 의심의 눈초리로 바라보는 일부 의원들과 옥분이 자격이 없다며 항의하는 일본 측 의원. 준비한 연설문을 손에 쥔 채 얼어붙은 옥분 앞에 민재가 나타나고 옥분은 연설을 시작한다.
리뷰
꼬장꼬장하고 쓸데없이 여기저기 들쑤시고 다니는 골치 아픈 할머니, 옥분. 그녀의 숨겨진 과거가 밝혀지니 그동안의 옥분의 사소한 행동들이 단번에 이해가 됐다. 여름에도 긴 팔을 입고 다니는 것도, 다른 사람과 어깨를 부딪히고는 소스라치게 놀라던 것도, 구청에 끊임없이 민원을 접수하던 것도, 조건 없이 영재에게 밥을 차려주던 것도, 모든 사람들에게 날을 세우고 필요 이상 다가가지 않았던 것도. 그리고 그 긴 세월 동안 그 끔찍한 과거를 벗어나지 못하고 살아왔을 옥분과 다른 위안부 피해자 할머니들.
옥분의 연설이 끝나고 일본 측 의원이 얼마를 원하는지 물어보는데 정말 입에서 욕이 절로 나왔다. 그에 응수하는 옥분의 대답이야말로 모든 위안부 피해자들이 바라는 대답이고 응당 이루어져야 하지만 아직까지 이루어지지 않은 일일 것이다. 위안부 피해자를 다룬 영화라는 이야기를 듣고 보았지만 예상보다 더 슬펐다. 일본은 모든 위안부 피해자 할머니들의 사망을 기다릴 거고 결국 일본이 원하는 대로 될 현실이 답답했다. 이 영화를 통해 그들의 사과를 받지 못하고 눈을 감은 한국뿐만 아니라 전 세계의 위안부 피해자들의 마음이 보다 많은 사람들에게 전달되기를.
'영화'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설국열차(Snowpiercer) 봉준호 감독 영화 리뷰 (0) | 2021.10.14 |
---|---|
엑시트 : 재난 탈출 액션 (Exit, 2019) (0) | 2021.10.11 |
미녀와 야수 (Beauty and the Beast, 2017) (0) | 2021.10.10 |
극한직업 (Extreme Job, 2019) (0) | 2021.10.10 |
퍼펙트게임 (Perfect Game, 2011) (0) | 2021.10.06 |